MewwSikk
article thumbnail
[논문 리뷰] Focal Loss

Table of Content 1. Focal Loss의 필요성 2. Focal Loss 1. Crossentropy Loss를 쓰지 않고 Focal Loss를 쓰는 이유 2. Balanced Cross Entropy Loss를 쓰지 않고 Focal Loss를 사용하는 이유 3. Focal Loss의 적용 Object Detection이란? 여러 object들을 Bounding Box를 통해 Localization(위치 찾기)하고, Classification(어떤 물체인지 분류)하는 작업입니다. Object Detection의 2가지 종류의 알고리즘 1. R-CNN 계열의 two-stage detector 2. YOLO, SSD 계열의 one stage detector SSD관련 논문 리뷰: https:..

article thumbnail
[Tensorflow] Gradient Tape을 이용한 자동 미분과 오차 역전파
🖥️ Computer Vision 2023. 8. 17. 04:29

이전에 올린 Barlow Twins Architecture를 구현하면서 tensorflow.keras.Model의 train_step() 함수를 건드릴 일이 생겼는데 해당 함수에서 Gradient Tape를 사용하는 점을 보고 공부하며 아래의 블로그를 필사했습니다. https://rfriend.tistory.com/556 [TensorFlow] Gradient Tape을 이용한 자동 미분과 오차역전파 자동미분(Automatic differentiation, Algorithmic differentiation, computational differentiation, auto-differentiation, 또는 줄여서 간단히 auto-diff) 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구체화된 함수의 미분을 산술적으로 계..